이애주
李愛珠, 1947. 10. 17.~2021. 5. 10.)
어린 시절 이왕직 아악부(국립국악원의 전신)의 아악수장 김보남으로부터 춤을 익혔다. 서울대학교 진학 후 국가무형문화재 제27호 승무〉 보유자인 벽사(碧史) 한영숙을 사사(師事)했으며, 1996년에는 스승에 이어 2대 예능 보유자로 지정되었다.
1987년 6월 항쟁의 한복판에서 온몸으로 시대를 가르는 춤을 추어 춤의 사회적 과제를 부각했다. 이후 전통춤 정립과 후진 교육에 매진하는 한편, 민족춤의 시원을 찾아 각고의 노력을 기울였다.
서울대학교 교수, 경기아트센터 이사장을 역임했으며, 2021년 이애주문화재단을 설립한 후 같은 해 5월 10일 타계했다.
목차
4|사진으로 추억해낸 춤꾼 이애주|유홍준
6|스승님과 함께했던 아름다운 기억|윤영옥
8|몸의 기억, 춤의 기록, 그 한 생애|김연정
춤꾼 이애주 - 삶의 몸짓, 생명의 춤|10
전무후무한 춤꾼’이애주 선생을 기리며|윤중강 34
생명은 살리고 죽음은 풀어 주었던 춤꾼 이애주|김영희 36
Ⅰ. 법무의 시대
절로 춤의 삶이 열렸으니|48
Ⅱ. 신명의시대
분단억압의 모진 바람에 맞서|82
Ⅲ. 근본을 돌아보다
우리춤, 몸짓의 근원을 찾아|130
Ⅳ. 터벌림의 시대
생명의 발걸음, 평화의 몸짓
- 우리춤 터벌림|223
- 우리땅 터벌림|258
Ⅴ. 천명의 시대
땅과 하늘과 바람과 하나되어|284
Ⅵ. 그림과 시로 남은 이애주 춤
- 그림|330
- 시|354
생명춤의 여사제女司祭이애주|홍성담 376
이애주와 사람들|412
춤꾼 이애주의 한살매|444